다시, 나를 만나다

À La Frontière 현 재 와 미 래 의 경 계 À La Frontière JOONGBU UNIVERSITY BEAUTY·FASHION BUSINESS GRADUATION EXHIBITION 2025 2025 중부대학교 뷰티·패션비즈니스학전공 졸업전시회 2025 · 다시, 나를 만나다 일곱 번째 민들레학교 시화전

다시, 나를 만나다 일곱 번째 민들레학교 시화전 2025. 10. 27(월)13시 > 10. 31(금)16시 오프닝행사 10. 28(화) 15시~16시 모마 K 갤러리 서울 관악구 관악로 116, 2층 T.02-567-2121

격려사 | Words of Encouragement 삶의 여러 장면을 시로 쓰고, 그 시에 마음을 담은 그림이 더해졌습니다. 그 안에는 오롯이 ‘나’를 다시 만난 어르신들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다시, 나를 만나다’ 시화전은 한글을 배우며 자신의 이름을 또박또박 써 내려간 어르신들이 이번에는 자신의 인생을 글로 표현한 특별한 자리입니다. 누군가는 어린 시절의 나를, 누군가는 엄마이자 아내였던 나를, 또 누군가는 지금 이 순간의 나를 시로 고백했습니다. 그동안 가족과 타인을 위해 살아오신 어르신들이 이 전시를 통해 오롯이 자신에게 집중하며 삶의 의미와 배움의 기쁨을 다시금 느끼셨기를 바랍니다. 또한 어르신들의 시에 따뜻한 색을 더해준 서울미술고등학교 학생 여러분께도 깊은 감사를 전합니다. 세대가 어우러져 만들어낸 이번 시화전이 우리 모두에게 ‘다시, 나’를 돌아보는 소중한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어르신들의 용기와 열정에 진심 어린 박수를 보냅니다. 2025년 10월 강감찬관악종합사회복지관장 한 미 경 ‘다시, 나를 만나다’ 시화전에 박수를 보냅니다.

About Exhibition | 전시 소개 10월 27일부터 31일까지 5일간, 한글을 배우는 어르신 학생과 서울미술고등학교 미술부 학생이 함께하는 시화전입니다. 관악구에 있는 모마 K 갤러리에서 열린 이 번 시화전은 일곱 번째로 45점의 작품을 전시합니다. 이번 전시회는 어르신들이 ‘나’를 주제로 직접 시를 쓰고 전시하는 자리입니다. 항 상 가족과 타인을 위해 헌신해 오신 어르신들이 이번만큼은 자신의 삶에 집중하며, 어린 시절의 나, 젊은 시절의 나, 엄마와 아내로서의 나, 그리고 지금의 나를 돌아보 며 시로 표현했습니다. 긴 삶 속에서 잊고 지냈던 ‘나’를 다시 마주하는 뜻깊은 시간 이며, 그 이야기들은 누군가의 마음을 위로하고 또 다른 배움의 씨앗이 되었습니다. 서울미술고등학교 학생들과의 두 번째 협업으로 더욱 특별한 의미를 지닙니다. 세대 와 경험은 다르지만, 마음으로 이어진 공감이 작품 속에 따뜻하게 녹아 있습니다. 시화전에 함께해 준 서울미술고등학교 학생들과 선생님들, 그리고 민들레 학교 선 생님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좋은 공간을 선뜻 내어주신 모마 K 갤러리 대표 님께도 깊이 감사드립니다. 이번 시화전을 통해 문해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이 널리 알려지길 바랍니다. 노년의 배움은 단순한 글공부가 아닌, 삶을 새롭게 써 내려가는 또 하나의 시작입니다. 많 은 이들에게 배움의 감동과 인생의 아름다움을 전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다시, 나를 만나다’ 시화전은

글 그림 제목 페이지 공삼수 최자인 나의 하루 06 곽명순 손혜인 약속을 지킨 한 달 07 곽복례 이채영 내가 참 대견하다 08 권영숙 장유진 땡볕에 있는 옥수수 09 김숙자 양채은 유일한 내 친구 10 김순업 함석민 어색한 열여덟 소녀 11 김영숙 원재승 내가 나에게 12 김영숙 오수인 바른 길로 걸어온 나 13 김원종 장유미 싸리 꽃 14 김장순 유세린 내 딸이니까 15 김태옥 이하윤 내 인생 가장 찬란했던 순간 16 김후연 이수빈 편안허다 17 노영순 정혜교 별탈 없는 하루가 좋다 18 명순옥 정은영 순옥씨에게 19 박귀업 이예원 지금보다 더 좋은 시절은 없었다 20 박북실 전태빈 오늘, 참 좋다 21 박순남 손윤지 쪽지 한 장 22 박양임 조정원 그때가 더 재밌었다 23 박의순 신민선 이제야 풀리는 마음 24 박향자 정예은 척척 쓰고, 척척 읽고 25 백월례 오수진 연탄 한 장 30원 26 변분순 신하윤 노란 봉투 27 차례 | Contents

설경순 옥다연 행복해서 아쉬운 하루 28 성계주 최하연 더디지만 29 손두심 박정연 장바닥 내 젊은 날 30 송상순 이동규 당당한 기술자 31 안춘희 여지수 노년의 내 인생 32 염순오 유채현 빠르지 않을 뿐 이루어 내는 나 33 왕정순 전유진 노란 봉투에서 시작된 행복 34 윤집득 최우리 사 남매에게 35 이귀례 이서현 주머니에 넣은 복 36 이달순 손지아 이제야 느끼는 재미 37 이선임 표예원 나름 잘 살았지요 38 이순자 배서인 젊음 한 그릇 39 이완순 이현서 당신께 드리는 새벽기도 40 이인순 최여은 고마운 할아버지 41 정경애 정유빈 이제는 나를 위해 42 정삼순 이효근 큰엄마네 조청 43 정정애 송서연 나의 할아버지 44 정차순 정하영 눈물 날 만큼 좋았던 날 45 진순식 신유진 팔십에 만난 학교 46 진순자 홍아준 상 복 47 진순자 한현지 월남에서 돌아오신 서방님 48 최두지 최승윤 나의 오빠 49 한재덕 전준희 손 글씨 한 줄 50

나의 하루 글 공삼수 | 그림 최자인 06

약속을 지킨 한 달 글 곽명순 | 그림 손혜인 07

내가 참 대견하다 글 곽복례 | 그림 이채영 08

땡볕에 있는 옥수수 글 권영숙 | 그림 장유진 09

유일한 내 친구 글 김숙자 | 그림 양채은 10

어색한 열여덟 소녀 글 김순업 | 그림 함석민 11

내가 나에게 글 김영숙 | 그림 원재승 12

바른 길로 걸어온 나 글 김영숙 | 그림 오수인 13

싸리 꽃 글 김원종 | 그림 장유미 14

내 딸이니까 글 김장순 | 그림 유세린 15

내 인생 가장 찬란했던 순간 글 김태옥 | 그림 이하윤 16

편안허다 글 김후연 | 그림 이수빈 17

별탈 없는 하루가 좋다 글 노영순 | 그림 정혜교 18

순옥씨에게 글 명순옥 | 그림 정은영 19

지금보다 더 좋은 시절은 없었다 글 박귀업 | 그림 이예원 20

오늘, 참 좋다 글 박북실 | 그림 전태빈 21

쪽지 한 장 글 박순남 | 그림 손윤지 22

그때가 더 재밌었다 글 박양임 | 그림 조정원 23

이제야 풀리는 마음 글 박의순 | 그림 신민선 24

척척 쓰고, 척척 읽고 글 박향자 | 그림 정예은 25

연탄 한 장 30원 글 백월례 | 그림 오수진 26

노란 봉투 글 변분순 | 그림 신하윤 27

행복해서 아쉬운 하루 글 설경순 | 그림 옥다연 28

더디지만 글 성계주 | 그림 최하연 29

장바닥 내 젊은 날 글 손두심 | 그림 박정연 30

당당한 기술자 글 송상순 | 그림 이동규 31

노년의 내 인생 글 안춘희 | 그림 여지수 32

빠르지 않을 뿐 이루어 내는 나 글 염순오 | 그림 유채현 33

노란 봉투에서 시작된 행복 글 왕정순 | 그림 전유진 34

사 남매에게 글 윤집득 | 그림 최우리 35

주머니에 넣은 복 글 이귀례 | 그림 이서현 36

이제야 느끼는 재미 글 이달순 | 그림 손지아 37

나름 잘 살았지요 글 이선임 | 그림 표예원 38

젊음 한 그릇 글 이순자 | 그림 배서인 39

당신께 드리는 새벽기도 글 이완순 | 그림 이현서 40

고마운 할아버지 글 이인순 | 그림 최여은 41

이제는 나를 위해 글 정경애 | 그림 정유빈 42

큰엄마네 조청 글 정삼순 | 그림 이효근 43

나의 할아버지 글 정정애 | 그림 송서연 44

눈물 날 만큼 좋았던 날 글 정차순 | 그림 정하영 45

팔십에 만난 학교 글 진순식 | 그림 신유진 46

상 복 글 진순자 | 그림 홍아준 47

월남에서 돌아오신 서방님 글 진순자 | 그림 한현지 48

나의 오빠 글 최두지 | 그림 최승윤 49

손 글씨 한 줄 글 한재덕 | 그림 전준희 50

다시, 나를 만나다

민들레학교 시화전이 걸어온 길 제1회 ‘펜 끝으로 써 내려간 인생’ | 기간: 2017년 12월 15일 ~ 16일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내 ‘대산 갤러리’ | 그림: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선화예술고등학교 미술부 제2회 ‘다시, 꿈을 꾸다’ | 기간: 2018년 11월 26일 ~ 29일 장소: 서울대학교 문화관 | 그림: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학생회, 선화예술고등학교 미술부 제3회 한글날 기념 ‘내가 당신을 알고 세상에 눈을 떳소’ | 기간: 2019년 10월 2일 ~ 11일 장소: 신도림예술공간 고리 | 그림: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학생회, 선화예술고등학교 미술부

제4회 ‘다시, 피어나다’ | 기간: 2019년 11월 25일 ~ 28일 | 장소: 서울대학교 문화관 그림: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학생회, 선화예술고등학교 미술부 제5회 온라인 시화전 ‘시인이 노래하다’ | 기간: 2021년 11월 11일 ~ 2022년 1월 31일 | 장소: 온라인 국회 교육위원회 ‘평생교육 작품전시회’ | 기간: 2023년 3월 ~ 2023년 4월 | 장소: 국회의사당 제6회 ‘다시, 이루다’ | 기간: 기간: 2024년 11월 20일 ~ 22일 | 장소: 동작아트갤러리

제7회 시화전 준비과정

서울미술고등학교 미술부 박정연 배서인 손윤지 손지아 손혜인 송서연 신민선 신유진 신하윤 양채은 여지수 오수인 오수진 옥다연 원재승 유세린 유채현 이동규 이서현 이수빈 이예원 이채영 이하윤 이현서 이효근 장유미 장유진 전유진 전준희 전태빈 정예은 정하영 정혜교 조정원 최승윤 최여은 최우리 최자인 최하연 표예원 한현지 함석민 홍아준 서울미술고등학교 미술부 선생님 강지웅 김채림 황호연 민들레학교 강사 박미영 이진숙 모마 K 갤러리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발행처 | 강감찬관악종합사회복지관 서울특별시 관악구 양녕로 74 02-886-9941 발행인 | 한미경 편집인 | 강귀연 발행일 | 2025. 10. 28 제작 | 디자인플러스 www.dorok.kr 이 도록에 수록된 글과 사진을 포함한 모든 내용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되고 있으므로 저작권자의 허락없이 무단으로 복제 또는 전재될 수 없습니다. 다시, 나를 만나다 일곱 번째 민들레학교 시화전

À La Frontière 현재와 미래의 경계 2025 중부대학교 뷰티·패션비즈니스학전공 졸업전시회

RkJQdWJsaXNoZXIy MTA5MDQzM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