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남서울대학교 공간조형디자인학과 제28회 졸업작품전시회 흙유리展 “공간의 흔적”
2025 남서울대학교 공간조형디자인학과 제28회 졸업작품전시회 흙유리展 : 공간의 흔적 Traces of Space, 28th Graduate Exhibition Department of Space Formative Arts Design Namseoul University 2025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공간조형예술가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조형예술 및 디자인을 지향하는 국내 유일의 학과로 건축도자, 유리조형 그리고 디자인을 중심으로 융합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대예술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순수조형과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디자인 능력을 함께 배양할 수 있도록 통합교육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내 최고 수준의 실습 기자재 및 교육장비와 우수한 교수진에 의한 종합적 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의 잠재된 창의성, 심미성, 실용성을 이끌어내 사회에 필요한 공간조형 디자인 인재로 양성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격려사 Encouragement 교육 목표 Educational Goals 학과 교수진 소개 Introduction of Faculty 학과 연혁 History of the Department 작품 Works 유리 Glass 지도교수 고성희 Prof. Seonghee Koh 지도교수 편종필 Prof. Jongpil Pyun 도자 Ceramic 지도교수 공현구 Prof. Hyunku Kong 지도교수 이용필 Prof. Yongphill Lee 프로필 Profiles 제28대 졸업준비위원회 28th Graduation Preparation Committee 차례 Contents
남서울대학교 총장 윤승용 President of Namseoul University Yoon, Seung-Yong 격려사 Words of Encouragement
총장 격려사 하나님의 축복 아래 우리 대학 공간조형디자인학과의 28번째 졸업 전 ‘흙유리展: 공간의 흔적‘을 개최하게 되었음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이번 공간조형디자인학과 제28회 졸업전시를 통해, 젊은 디자이너들이 치열하게 고민하고 창조해낸 결과물을 마주하 게 되었습니다. 수많은 밤을 열정과 인내로 채우며 이 전시를 완성한 여러분 모두에게 깊은 박수와 찬사를 보냅니다. 디자인은 끊임없는 질문과 도전 속에서 성장합니다. 앞으로도 지금처럼 세상을 관찰하고, 질문하고, 그에 대한 자신만 의 답을 공간으로 표현해 나가길 바랍니다. 그 길이 결코 쉽지는 않겠지만, 이번 전시를 통해 여러분이 보여준 가능성 과 열정이라면 반드시 멋진 디자이너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 믿습니다. 공간조형디자인학과는 1995년 환경조형학과라는 이름으로 한국 최초 건축 도자, 유리조형 전공 개설을 시작한 이래, 교수와 학생들의 열정적인 노력과 성장을 통해 현재 해당 전공 분야에서 한국 최대·최고의 학과로 자리 잡았습니다. 또 한, 2014년부터 2019년 교육부의 대학 특성화 사업인 CK-1 사업에 우수학과로 선정되며 명실공히 대한민국이 인정 하는 명품 학과로 발돋움하였습니다. 현재 공간조형디자인학과는 학사, 석사, 박사과정이 개설돼 있으며 건축도자연구소, 유리조형연구소, 성암현대유리 역사박물관 등 다수의 연구기관과 시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공 관련 최고의 실기실·기자재를 보유하고 있으 며, 나아가 ‘한국 최초 유리조형박사’를 배출한 학과가 되었습니다. 남서울대학교는 1994년 개교 이래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인성과 지성을 겸비한 ‘21세기형 섬기는 리더’를 양성하여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전문 지식인을 배출하는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왔습니다. 여러분들도 이에 큰 자부심을 가 져도 될 것입니다. 다시 한번 28번째 공간조형디자인학과 졸업작품전을 축하드리며 오랜 기간 물심양면으로 지원해 주시고 격려해 주신 부모님들과 많은 교수님들께 감사한 마음 전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하나님의 축복과 은혜가 항상 함께하시길 기원합니다. 2025년 9월 24일
공간조형디자인학과 학과장 이용필 Dean of the Department of Space Formative Arts Design Yongphill Lee 격려사 Words of Encouragement
학과장 격려사 남서울대학교 공간조형디자인학과에서는 제28회 졸업작품 전시회를 “흙유리전:공간의 흔적”의 주제로 마루아트센터 에서 개최하게되었습니다. 공간조형디자인학과 4학년 예비졸업생들이 지난 4년간 쌓아온 창의력과 지식 그리고 노력 과 성취를 세상에 처음으로 선보이는 자리입니다. 그리고 단순한 작품전 개최를 넘어 공간구성, 작품배치, 체계적인 디 자인계획, 창의성과 조형 전문성을 세상에 발표하는 우리 예비졸업생들의 첫 무대입니다. 먼저 이 자리를 빌어 여러분의 전시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아울러 이 전시를 위해 지난 봄 학기부터 불철주야로 헌 신적인 노고를 아끼지 않으셨던 4학년 지도교수님, 외래교수님, 그리고 아낌없이 지원해주신 학부모님께 진심으로 감 사드립니다. 유난히도 습하고 뜨거웠던 이번 여름! 폭염을 이겨내고 조형학관과 막사 실습동에서 비가 오듯 흐르는 땀방 울을 닦아가며 심혈을 기울여 완성한 작품은 엄격한 졸업심사과정을 통과하였음에 큰 박수를 보내며 이 모든 과정에 최 선을 다한 예비졸업생 여러분들의 노고와 창작의 열정에 격려와 감사의 말을 전해 드립니다. 남서울대학교 공간조형디자인학과는 공간을 구성하는 조형예술과 디자인을 지향하는 국내 유일무이한 학부과정으로 지난 1995년 환경조형학과로 개설한 이래로 건축도자와 유리조형 전공을 중심으로 순수예술, 환경조형예술, 공간디자 인, 공예 및 제품디자인, 그리고 예술문화와 같은 다양한 학문을 토대로 창조적인 공간을 창출할 수 있는 조형인제와 디 자이너를 배출하였습니다. 특히 2014년도에는 ‘지역연계를 통한 창의적 유리조형 인재양성 사업’이 교육부 대학 특성 화 사업에 선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국가가 인정하는 국내 최고의 전공학과인 우수(명품)학과로도 지정을 받아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한 교육과 연구 및 작품제작이 이루어졌었고 진일보하여 미술 분야 국내 최고의 학과가 되었습니다. 오늘의 이 전시를 여러분의 새로운 시작점으로 여기고 꿈과 이상을 향해 더욱 성장 발전하는 토대가 되길 바랍니다. 그 리고 여러분들이 겸비한 융합적 사고력, 창의적 발상력, 전문적 전공기술을 기반으로 한 재능과 실력을 산업발전과 국 가문화수준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 동참하며 혁신적인 발상과 진취적인 도전정신으로 새로운 문화 창출과 변화를 선 도하는 전문가가 되시기를 바랍니다. 저희 교수들과 후배들은 앞으로 여러분의 사회적인 활동이 공간조형디자인학과의 성장과 함께할 수 있도록 끊임없는 관심과 노력을 기울일 것입니다. 이제 여러분은 개인이 아닌 남서울대학교 공간조형디자인학과를 대표하는 인재입니 다. 모든 교수님을 비롯하여 남서울대학교 구성원 모두는 여러분의 성공을 기원하고 여러분을 끝까지 지지하며 응원합 니다. 다시 한번 여러분의 성공적인 시작을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여러분 가정에 하나님의 축복과 사랑하심이 영원토록 함께 하시기를 축원합니다. 2025년 9월 24일
GOALS 남서울대학교 교육목표 교훈 사랑, 창의, 봉사 5대 덕목 신실한 신앙 창의적 사고 긍정적 참여 사랑의 실천 축복의 생활 창작이념 우리 대학의 창학이념인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는 기독정신을 바탕으로 지(智), 덕(德), 애(愛)를 함양하여 민족문화창달과 인류평화에 공헌하는 데 있다. 교육목적 우리 대학의 교육목적은 창학이념을 바탕으로 현대사회에 필요한 학문과 기술을 연구·개발하여 지속적인 고등교육과 실용적인 평생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사랑·창의·봉사정신을 실천할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는 데 있다. 교육목표 기독교 정신으로 사랑을 실천하는 사회인 양성 실용지식과 실무에 능통한 창의적 전문인 양성 국가와 인류사회에 봉사하는 세계인 양성
공간조형디자인학과 교육목표 01 지속적인 국제 교류 활성화로 실무형 글로벌 인재양성 02 산업 간 컨버전스 확산에 따라 학제간 융합교육시스템을 강화하고, 우수학생을 유치, 선발 03 개방형 교육과정과 융·복합 전공프로그램 확대를 통해 통섭형 크로스오버 인재를 양성 04 정보화 시대에 적합한 창의적 디지털 시각언어를 분석하고 재창조하는 역량 확보 05 학생들의 국제화 능력을 키우기 위하여 전공과 연관된 외국어 교육 활성화 06 해외대학 교류 프로그램 확대로 학생들의 국제교육 경험을 토대로 국제적인 문화인재양성 07 지속적인 산학연구와 캡스톤 디자인 교육을 바탕으로 학과/학문간 경계를 초월한 교류와 국내외 전략적 협력체계를 강화함으로써 융·복합 협력연구를 활성화 08 공간조형디자인학과에서 진행되는 특성화 사업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내실있는 교육체계구성 09 교수자의 연구 활동 영역을 확대하고 국제역량 강화로 지속적인 학과발전에 기여 10 창의적 교수법 개발을 통한 창조적 수업 및 교육매체 개발 11 졸업생과의 지속적인 인적교류를 통한 기업의 인재상 맞춤 지도로 취업률 100% 달성 12 주도적인 연구와 학술행사 개최로 예술적 남서울 공간조형디자인 문화창출과 문화트렌드 생산
FACULTY 학과 교수진 Introduction of Faculty
건축도자 공현구 교수 cwall@nsu.ac.kr 이용필 교수 phill@nsu.ac.kr 이춘복 교수 keramik@nsu.ac.kr 정년퇴임교수 윤장식 교수 jangsigyun93@gmail.com 모인순 교수 moisn@naver.com 강희찬 교수 khcglass@hanmail.net 곽동준 교수 0510kwak@naver.com 김헌철 교수 glass@nglass.kr 박삼칠 교수 jumto372@hanmail.net 박인수 교수 insoodesign@gmail.com 서명수 교수 seomyungsu@nsu.ac.kr 감성원 교수 sungwonkam@hanmail.net 김성현 교수 glassdimple@naver.com 김한기 교수 neoextla@naver.com 신상우 교수 dondonkr@hanmail.net 신재환 교수 free73@nate.com 전윤희 교수 ged0403@chol.com 조인창 실습조교 ckck8993@naver.com 김수진 행정조교 jin2nd429@naver.com 전화 041-580-2210 팩스 041-580-2909 전임교수 Full time Faculty 겸임교수 Adjunct Faculty 외래교수 Instructors 조교 Assistant 학과 사무실 Department Office 유리조형 고성희 교수 ksh@nsu.ac.kr 김형종 교수 khj@nsu.ac.kr 편종필 교수 jpp508@nsu.ac.kr 오봉환 교수 bh385@naver.com 이학주 교수 glass1972@hanmail.net 정승은 교수 eun2da@gmail.com 김한국 교수 rains2b@naver.com 양장원 교수 yangjwjw@naver.com 정미성 교수 mia.jung80@gmail.com 정문식 교수 baramsan0731@naver.com 진기하 교수 taryum@naver.com 채수용 교수 cotnd9334@hanmail.net 정명권 교수 nsjmk735@naver.com 조은영 교수 eycho@nsu.ac.kr 홈페이지 http://hwanjo.nsu.ac.kr
HISTORY 1995 03 환경조형학과 개설 1997 11 서울문화상품관광전 (COEX) 1998 10 제1회 남서울조형전 (예술의 전당) 12 크리스마스 크래프트 유리조형물 전시 (잠실, 롯데호텔) 1999 03 남서울 유리소품전 (가나아트갤러리) 05 남서울 조형회전 (예술의 전당) 06 인사동 거리 미술제 (유리시연, 판매, 홍보) 제1회 남서울 국제유리조형 페스티벌 제7회 한국유리조형전 (남서울대학교 조형갤러리) 제1회 유리이야기전 (천안문예회관) 08 1999 하계 휘닉스 파크 유리축제 (휘닉스파크) 1999 새청년 청소년 문화축제 (광화문) 10 1999 서울문화상품전 (여의도 종합전시장) 1999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유리시연, 홍보, 판매) 1999 제2회 남서울조형전 (덕원미술관) 2000 05 천안 공예품 경진대회 최우수상 수상 (김순임) 제2회 남서울조형회전 (예술의 전당) 07 제2회 남서울 국제유리조형 페스티벌 제2회 유리이야기전 (천안문예회관) 08 미술과 인테리어 만남전 2000년 하우스박람회 (롯데화랑) 2000 휘닉스파크 유리축제 (휘닉스파크) 2001 01 휘닉스파크 유리축제 (휘닉스파크) 07 제3회 남서울 국제유리조형 페스티벌 제3회 유리이야기전 (천안문예회관) 휘닉스파크 유리축제 (휘닉스파크) 09 삼성 코엑스 중소기업 박람회 행사 참여 및 시연 미대 입시 박람회 10 전국체전 행사 참여 및 시연 (천안) 제2회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행사 참여 및 시연 12 도자 소품전 (성보갤러리) 2002 01 휘닉스파크 유리축제 (휘닉스파크) 05 대학로 거리문화축제 참가 06 제3회 한국유리조형전 대상 수상 (전유진) 07 제4회 유리이야기전 (천안문예회관) 제4회 남서울 국제유리조형 페스티벌 08 리빙 디자인 페어 참가 휘닉스파크 유리축제 (휘닉스파크) 09 세계 미술 대상전 대상 수상 (김일용) 청주 공예품 대전 공동 금상 수상 (박시명, 한혜란) 제5회 환경조형학과 졸업전시회 12 제4회 환경조형동문전 ‘아올’展 (한국공예문화진흥원) 도자 소품전 (한국공예문화진흥원) 2003 02 학과 동아리 전시회 ‘작은모임 세 번째 이야기’ 03 학과 동아리 전시회 ‘4th CRAFT EXHIBITION OF INGLASS’ 05 특강-서구 표구사 대표 이사 심맹식: 포트폴리오제작 학과 연혁 History of the Department
2004 02 학과 동아리 전시회 ‘작은모임 네 번째 이야기’ 학과 동아리 전시회 ‘5th CRAFT EXHIBITION OF INGLASS’ 06 제6회 2004 남서울 국제유리조형 페스티벌 09 특강-스트라블라스트 교수 질데조니에: 시간과 빛 10 충북일보-공예문화상품대전 입상 유리신문-한국공예 2004 개최 11 제7회 환경조형학과 졸업전시회 ‘흙유理’展 (한국디자인포장센터) 12 환경조형학과 동문전 ‘아올’展 (덕원 갤러리) 2005 02 학과 동아리 전시회 ‘6th CRAFT EXHIBITION OF INGLASS’ 04 특강-모인순 교수: 슈퍼오브제 워크샵-최병건 교수: 2D program을 이용한 판넬 제작 05 특강-최병건 교수: 성형제작과 첨단기기 06 학과 동문 전시회-‘Glass 혜윰’展 (청담갤러리 기획초대전) 제7회 2005 남서울 국제유리조형 페스티벌 08 학과 동아리 전시회 ‘작은모임 다섯 번째 이야기’ 09 특강-모인순 교수: 점토를 이용한 장식기법 특강-최병건 교수: 국내 위생도기 제조시장의 현황과 디자인 10 특강-모인순 교수: 키치와 도예 특강-최병건 교수: 3D program을 이용한 세면대 디자인 11 제8회 환경조형학과 졸업전시회 (한국디자인진흥원) 학과 동아리 전시회 ‘1st CRAFT EXHIBITION OF RED CLAN’ 특강-모인순 교수: ART NOW 2006 05 특강-월간미술 이준희 기자: 시각이미지 생산자로서의 가능성 06 특강-이재원 작가: 이재원의 작품 슬라이드쇼 제8회 2006 남서울 국제유리조형 페스티벌 07 아트 앤 디자인 7월호-전국 학생 미술 실기대회 관련 학과 소개 미대입시 7월호-입시 관련 재학생 인터뷰 및 학과 소개 11 국제 공예박람회 참가 (COEX) 제9회 환경조형학과 졸업전시회 ‘흙유理’展 (코리아 디자인센터) 2007 01 학과 동아리 전시회 ‘움’展 02 학과 동아리 전시회 ‘8th CRAFT EXHIBITION OF INGLASS’ 06 제9회 남서울 국제유리조형 페스티벌 유리 오감전 ‘혜윰’展 (한국공예문화진흥원 제 1 전시관) 10 제4회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참여 및 시연 (청주 예술의 전당) 11 제10회 환경조형학과 졸업전시회 ‘흙유理’展 (덕원갤러리) 2007 남서울 유리조형 학술세미나 12 光Glass Works空 (빛갤러리) 2008 02 학과 동아리 전시회 ‘작은모임 일곱 번째 이야기’ 05 건축도자 세미나 ‘Vilma의 작품세계와 아르헨티나 현대 도예’ 특강-일본 쿠라시키 예술과학대학 전임교수 장경남: 유리조형 한울마당 축제참여-학과 동아리 06 제10회 남서울 국제유리조형 페스티벌 09 복음성가 경연대회-예체능 계열 우승 11 제11회 환경조형학과 졸업전시회 ‘흙유理’展 건축도자 특강-김명례 작가: 현대 도예의 흐름과 건축에서의 쓰임 12 환경조형학과 과제전 국제 공예 트렌드페어 참가 (COEX) 2009 02 학과 동아리 전시회-Inglass 학과 동아리 전시회-작은모임 학과 동아리 전시회-Red Clan 04 2009 세계도자엑스포 대학생 워크샵 참가 06 제11회 남서울 국제유리조형 페스티벌 10 건축도자연구소 워크샵 11 제12회 환경조형학과 졸업전시회 ‘흙유’展 (갤러리 이앙) 12 환경조형학과 과제전 공예 트렌드페어 전시 2010 02 학과 동아리 전시회-Inglass 학과 동아리 전시회-작은모임 학과 동아리 전시회-Red Clan 06 건축도자 특강-여선구 작가: 여선구의 작품세계 08 제 12회 남서울 국제유리조형 페스티벌 하계 중등 1급 자격연수 교사초청 유리조형 워크샵 09 요업기술원 직원 및 자녀대상 유리조형 워크샵 10 복음성가 경연대회-예체능 계열 장려상 수상 11 서울 서초구 일반인 대상 유리조형, 공예 시연회 제13회 환경조형학과 졸업전시회 (갤러리 이앙, 화정관) 건축도자 특강-조성자 작가 : Architectural Ceramic -Dream Project 유리조형 특강-이경우 현대예술관 홍보팀장 : 기업의 인재관과 자기발견 울산 국제 옹기 엑스포-옹기 크게 만들기 대회 입상 12 국제 공예 트렌드페어 참가 (COEX) 2011 02 학과 동아리 전시회-Inglass 학과 동아리 전시회-작은모임 학과 동아리 전시회-Red Clan 04 건축도자 특강 05 제41차 세계유리학술대회 학생발표 및 Bullseye Glass 워크샵 참가 06 제13회 남서울 국제유리조형 페스티벌 제13회 ‘유리이야기’展 08 제8회 환경조형학과 동문전 ‘아올’展 2011 대학생 대상 공예디자인 교육 참여 09 특강-오봉환: 세련된 공예 디자인의 Process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입상 (곽동훈) 특강-미국 코닝 유리박물관 관장 Amy Schwartz 특강-영국 Erin Dickson 작가 특강-조현성 작가: Burning in the lines 10 복음성가 경연대회 참가 건축도자 특강-나은진 제14회 환경조형학과 졸업전시회-1차 (갤러리 이앙) 11 제12회 혜윰전 (갤러리 빔) 아트피플 전시 건축도자 연구소 특강-박만규 건축도자 연구소 특강-고성희 : 광물질과 파유리 합성물에 대한 연구 제14회 환경조형학과 졸업전시회-2차 (갤러리 이앙)
12 한국 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최우수상 수상 (김하나, 나인성, 박혜진, 임은정) 건축도자연구소 및 학과 공예 트렌드페어 참가 (COEX) 2012 02 제13회 학과 동아리 INGLASS 정기 전시회 제11회 학과 동아리 작은모임 정기 전시회 제7회 학과 동아리 Red Clan 정기 전시회 SIO2 + IMAGENATION30 기획초대전 (팔레 드 서울) 태국 Ratchaburi Project 공동 프로젝트 03 New Glass Review 33 올해의 유리작가 100인 선정 (조서전, 지형민) Like ⊂ Work, Work ⊂ Like 초대 개인전 (백단비, 팔레 드 서울) 05 한국도자학회 2012년 봄 학술대회와 국제전 (남서울대학교) 유리조형 그룹전-‘투명한 대화’ (청아트센터) 리각 미술관 초대전-‘물질의 변용’ 06 South Alabama 대학 Rene Culler 교수 환경조형학과 연구교수 방문 국제 도예, 유리 45인전 (마가미술관) South Alabama 대학 Rene Culler 교수 환경조형학과 초청 세미나 07 제14회 남서울 국제유리조형 페스티벌 08 Rene Culler 초대전 (갤러리 이앙) 제2기 남서울대학교 글로벌 전공체험단 유리조형 전공체험 미국연수 (Corning Museum of Glass) 환경조형학과 재능기부-스테인드 글라스 (평화신문 기재) 2013 01 학과 동아리 전시회-Inglass 학과 동아리 전시회-작은모임 02 학과 동아리 전시회-Red Clan 환경조형학과 동문전 03 신춘공예展 (손용관 외 9인) 04 Weaton Art Museum 국제 거주작가 선정 (유리조형대학원 임현준) 05 New Glass Review 올해의 유리작가 100인 선정 (남덕현) 06 제15회 남서울 국제유리조형 페스티벌 제14회 Glass 혜윰전 (리앤박 갤러리) 08 환경조형학과 교수진 및 졸업생-‘도자/유리/조형’展 (마가미술관) 09 특강-미국 코닝 유리박물관 관장 Amy Schwartz, 유리작가 Dante Marioni 10 제16회 환경조형학과 졸업전시회 11 도솔미술대전 대상 수상 (한다정) 2014 02 학과 동아리 전시회-Inglass 학과 동아리 전시회-작은모임 학과 동아리 전시회-Red Clan 환경조형학과 동문전 ‘아올’展 (갤러리 이앙) 04 개교 20주년 조형계열 교수 전시 (갤러리 이앙) 06 CK-1 교육부 주관 학과 특성화사업 선정 08 CK-1 교육부 주관 학과 특성화사업 ‘우수학과’ 선정 10 제17회 환경조형학과 졸업전시회 2015 02 학과 동아리 전시회-Inglass 학과 동아리 전시회-작은모임 학과 동아리 전시회-Red Clan 03 Red dot Award 공모전 수상 (김효수) 04 한불수교 130주년 기념 정부공식인증사업 선정 태국 실파콘 국립대학교 예술대학 교수진, 학생 교류 및 MOU 체결 05 소재·부품감성화 지원사업(R&B 연구과제) 06 Objet & Image 국제展 개최 (갤러리 이앙) 제17회 남서울 국제유리조형 페스티벌 제17회 ‘유리이야기’展 개최 (리각미술관) CK-1 교육부 주관 학과 특성화사업 선정 08 CK-1 교육부 주관 학과 특성화사업 ‘우수학과’ 선정 09 복음성가 경연대회 예체능 계열 우승 제18회 유리조형디자인학과 졸업전시회 12 2015 공예 트렌드페어 참가 (COEX) 2016 01 한불수교 130주년 정부공식인증사업 참여자 프랑스 HAER 대학 방문 도자-공간꾸미기展 (갤러리 라세라마노) 04 태국 실파콘 국립대학교 국제도예심포지엄 행사 참가 태국 부라파대학 학과 방문 06 CK-1 교육부 주관 학과 특성화사업 선정 07 제17회 ‘혜윰’展 (갤러리 이앙) 조형아트서울 PLAS 2016 참가 (COEX) 2016 국제건축도자展 (갤러리 이앙) 08 제18회 남서울 국제유리조형 페스티벌 CK-1 교육부 주관 학과 특성화사업 ‘우수학과’ 선정 09 제19회 유리세라믹디자인학과 졸업전시회 1차 복음성가 경연대회 참가 10 제1회 창조문화예술제 ‘색깔을 담다’展 (갤러리 퍼블릭에어) 11 인도네시아 Duta Wacana Christian University 학과 방문 및 MOU 체결 제15회 N+ 섬기는 리더 봉사활동展-아름다운 세상 만들기 제19회 유리세라믹디자인학과 졸업전시회 2차 -K핸드메이드페어 참가(COEX) 한국 국제세라믹산업전 참가 (COEX) 12 제20회 관악 현대공예대전 특선 (양유선, 오지윤) 제45회 전국 대학(원)생 디자인공모전 은상 수상 (나현정) 제45회 전국 대학(원)생 디자인공모전 입선 (순준기, 한 휘) 2017 02 제1회 학과 동아리 연합전시회 ‘너나들이’展 (아라아트센터) 04 제16회 N+ 섬기는 리더 봉사활동展-반딧불이 봉사활동 05 ‘2017 공예 소재 및 기법 목록화 연구’ -유리공예 KCDF 주관 사업선정 06 제19회 남서울 국제유리조형 페스티벌 CK-1 교육부 주관 학과 특성화사업 선정 07 제18회 ‘혜윰’展 (갤러리 이앙) 조형아트서울 PLAS 2017 참가 (COEX) 08 대한민국 기독교 미술대전 입선 (강다솜) CK-1 교육부 주관 학과 특성화사업 ‘우수학과’ 선정 09 제20회 유리세라믹디자인하과 졸업전시회 ‘흙유’展 11 제20회 유리세라믹디자인학과 졸업전시회 2차 ‘숫눈길’展
12 제21회 관악 현대미술대전 대상 수상 (김다혜) 콘텐츠 아이디어 해커톤대회 대상 수상 (허필수) 2018 02 제2회 학과 동아리 연합전시회 ‘운김’展 (인사아트프라자) 06 조형아트서울 PLAS 2018 참가 (COEX) ‘너의 색깔은?’展 (갤러리 이앙) CK-1 교육부 주관 학과 특성화사업 선정 08 제19회 ‘혜윰’展 (갤러리 이앙) 제20회 남서울 국제유리조형 페스티벌 CK-1 교육부 주관 학과 특성화사업 ‘우수학과’ 선정 09 제21회 유리세라믹디자인학과 졸업전시회 2019 02 제3회 학과동아리 연합전시회 ‘너울’展 (갤러리 라메르) 06 조형아트서울 PLAS 2019 운영위원 선정 (COEX) 07 유리세라믹디자인학과 ‘반짝반짝 유리공예 공작소’ -중소벤처기업부 2019 메이커스페이스 사업 선정 08 제20회 ‘혜윰’展 (갤러리 이앙) 제21회 남서울 국제유리조형 페스티벌 09 제22회 유리세라믹디자인학과 졸업전시회 ‘흙유’展 (갤러리 이앙) 2020 01 유리세라믹디자인학과 ‘서울 공예 박물관 공예작품설치 지명공고’ 최종 작가 선정 (김헌철 교수) 유리세라믹디자인학과 국제최고위유리교육과정 2019~2020 개최 학과 동아리 전시회-Inglass (인사아트프라자 갤러리) 학과 동아리 전시회-Red Clan (갤러리 빈치) 02 학과 동아리 전시회-작은모임 06 조형아트서울 PLAS 2020 참가 (COEX) 07 2020년 메이커스페이스 ‘한국현대유리의 진화’展 개최 08 유리세라믹디자인학과 메이커스페이스 -‘반짝반짝 유리공예 공작소’ KBS 1TV ‘다정다감’ 프로그램 방송 제23회 유리세라믹디자인학과 졸업전시회 ‘흙유理’展 (인사아트센터) 12 2020 공예 트렌드페어 참가 (COEX) 2021 01 태국 나래수안국립대학교 MOU 체결 04 EBS 딩동댕 유치원 교육방송 방영 05 지역연계 봉사 ‘성환읍과 남서울대를 잇다!’ -매주리 저수지 벽화 봉사활동 06 2021 KCDF 스타상품 공모전 20인 선정 (유리조형대학원 전형준) 09 2021 국제 공예전 ‘희망을 보다’展 지역연계 봉사-성환읍 성월2리 마을가꾸기 봉사 유리세라믹디자인학과 메이커스페이스 ‘반짝반짝 유리공예 공작소’ 천안창작촌 화이트블럭 3!1!5!아트센터 참여 10 제24회 유리세라믹디자인학과 졸업전시회 ‘흙유理’展 (아라아트센터) 12 유리세라믹디자인학과 과제전 (남서울대학교) 2022 02 한국 최초 유리조형 박사학위 수여 (서명수 교수, 이학주 교수) 레드클렌, 작은 모임 동아리 전시 04 [UN지정 세계유리의 해] 2022 국제 공예전 희망을보다 展 05 조형아트서울 PLAS 2022 참가 (COEX) 06 유리세라믹디자인학과 학술제 UN 지정 ‘세계 유리의 해’ 기념 국제전 참여 (화이트블럭) 07 2022 공예 트렌드페어 ‘대학관 부스’ 참여 선정 08 미술로 행복한 우리 동네 09 태조산 청소년수련관 부스운영 성환 명동길 골목 활성화 프로젝트 10 중고등학생 미술 축제 부스 운영 천안시민 행사 유리 도자 부스 운영 제25회 유리세라믹디자인학과 졸업전시회 ‘흙유理’展 (갤러리 라메르) 11 유리세라믹디자인학과 제25회 서브전시회 ‘흙유리전 기다림으로부터, 두 번째’ (남서울대학교) 동문 겨울 기획 전시회 ‘한옥, 기다림을 닮다’ 12 유리세리믹디자인학과 학술제 (남서울대학교) 2022 공예트렌트 페어 대학관 부스 운영 2023 02 유리세라믹디자인학과 연합동아리 동계전시 03 ‘공간조형디자인학과’로 학과명 변경 06 윤장식 교수 정년 퇴임식 모인순 교수 정년 퇴임식 공간조형디자인학과 학술제 07 이순신고등학교 학과 탐방 08 윤호석 유리작가 특강 10 제26회 공간조형디자인학과 졸업전시회 ’흙유理’展 (인사1010) 2024 02 공간조형디자인학과 연합동아리 동계전시 04 성산골 한울마당 부스 운영 05 말레이시아 사이토 대학 총장 특강 06 공간조형디자인학과 하계 학술제 천안진로체험지원센터 도자, 유리 공예 체험 진행 07 성환초등학교 아트타일 제작지원 봉사 10 제27회 공간조형디자인학과 졸업전시회 ‘흙유리展: 형태의 향연‘(마루아트) 2025 02 공간조형디자인학과 레드클랜 동아리 전시 03 벽화봉사 (mt연계봉사) 04 원데이클라스 운영 05 성산골 한울마당 부스 운영 대학연계 참학력 공동교육과정 강좌 진행 06 2025 천안진로직업체험박람회 참여 태국 실바콘 대학 썸머캠프 공간조형디자인학과 하계 학술제 07 부안청자박물관-남서울대학교, 상생협력 업무협약 체결 태국 King Mongkut’s University MOU 체결 09 제28회 공간조형디자인학과 졸업전시회 ‘흙유리展: 공간의 흔적‘ (마루아트)
S PA C E FO RMAT I V E A R T S D E S I GN | 유리 GLASS
김삼수 김우재 김재연 김주은 김지연 김현구 박선영 신지혜 신채원 이민지 이서진 이영민 이지예 이해람 정다빈 정민지 정수빈 정호연 KIM SAMSU KIM WOOJAE KIM JAEYEON KIM JUEUN KIM JIYEON KIM HYUNGU PARK SUNYOUNG SHIN JIHYE SHIN CHAEWON LEE MINJI LEE SEOJIN LEE YOUNGMIN LEE JIYE LEE HAELAM CHUNG DABIN JUNG MINJI JUNG SUBIN JUNG HOYEON 지도교수 고성희 Prof. Seonghee Koh
김 삼 수 | K I M S A M S U Tetris stand light Crystal glass and metal Laminating and metalworking 1700x250x250mm Metal, Glass의 만남을 빈 공간없이 쌓아가는 Tetris처럼 표현한다. 유리의 물성을 이용해 빛을 사용하여 특징을 더 극대화 시키려 한다.
021
김 우 재 | K I M W O O J A E 열정 열정 열정 Glass | Cast | 335x335x30mm
023
김 재 연 | K I M J A E Y E O N
빛의 여정:에너지의 진화 The Voyage of Light:Evolution of Energy Enamel, iron plate, mirror and plate glass | Slumping | 34x400x400mm(5EA) 빛이 가지는 파장, 순서를 따라, 우주의 가능성에서 생명의 진화까지를 은유함. 투명은 아직 빛이 태어나지 않은 공간, 빨강은 최초의 에너지, 노랑은 생명 활동의 시작, 초록은 생명의 정점, 파랑은 확장과 진화를 상징. 즉, 우주의 탄생,생명의 탄생, 진화까지의 과정을 나타냄. 025
김 주 은 | K I M J U E U N
무제 Mixed media and bk-9 glass Casted 250x200x30mm Blown, 115x110x80, 135x115x100, 130x85x85mm 027
김 지 연 | K I M J I Y E O N 흐름의 저항 Resistance to the Flow A string of nylon, czech glass and iron | Casted, steel, nylon string | 2100x900x900mm(가변설치) 하염없이 흐르는 시간(=물)을 실(=감정)로 포박하려는 시도를 각화했다. 실들이 중심을 향해 당겨진 모습은 무언가를 애써 붙잡으려는 내면의 긴장을, 동시에 유리 물방울이 중심에 고요히 매달린 모습은 그것이 결국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담담하게 말한다.
029
김 현 구 | K I M H Y U N G U “Impronta Dell’ Etere” 에테르의 흔적 Czech glass | Cast, fused and slumped | 270x180x180mm 투명한 유리의 심연 속에 잠든 이 형상들은, 손에 잡히지 않는 어떤 감각 “에테르” 의 흔적을 담고 있다. 작가는 눈에 보이지 않는 에너지와 감정의 진동을 색과 형태로 응결시 켰다. 휘어진 선과 붉고 푸른 결, 흩날리는 듯한 유리조각 들은 고요한 공간 속에서도 끊임없이 파동을 일으키며 보 는 이의 내면을 흔든다. 작품은 고체와 유동, 실체와 허상의 경계 위에 서 있다. 고 정되어 있지만 살아 있고, 닿을 수 없지만 분명히 존재한 다. 이 유리 덩어리는 단순한 오브제가 아닌, 시간과 기억 의 층위를 투명한 몸에 새긴 하나의 ‘존재’다 작가는 이를 통해 묻는다. “우리는 눈에 보이는 것만을 현실이라 부를 수 있는가? 그렇다면, 보이지 않는 감정과 기운은 어디에 남겨지는 가?” Impronta dell’Etere는 그 질문에 대한 조형적 응답이자, 보이지 않는 세계에 남겨진 흔적의 형상화다.
Porte-Soleil Glass | Blown | 400x150x80mm 한 점의 곡선. 그 안에서 빛은 조용히 숨을 쉬고, 시간은 맴돌다 스며든다. 유리의 표면 위로 흐르는 금빛과 장밋빛, 중앙에 열린 고요한 구멍은 무(無)가 아닌 빛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다. 이 화병은 꽃을 위한 그릇이 아니다. 그것은 햇살의 조각, 또는 어느 계절의 온도를 품은 하나의 감각이다. 에르메스의 세계처럼, 삶은 가장 단순한 형태 안에서 우아해지고, 빛은 가장 조용한 곡선 위에서 비로소 머문다. “Porte-Soleil” 여기에 열리는 것은 사물의 입구가 아니라, 감각을 향한 내면의 문이다. 031
박 선 영 | P A R K S U N Y O U N G 은결(銀結) Lustreline Epoxy Resin , mirror and plate glass Assembled, laminated and surface texturing 60x500x500mm, 60x400x400mm, 60x300x300mm
033
신 지 혜 | S H I N J I H Y E The Merged Self Cerium, iso pink insulation, optic glass and plaster | Casted | 1000x1500mm 모든 경험들은 완성되어가는 나를 만들어 간다.
035
신 채 원 | S H I N C H A E W O N Glass cascade Frp and optic glass, lighting | Fused and slumped | 650x650x700mm
037
이 민 지 | L E E M I N J I 잔을 든 여인 Mirror and plate glass | Laminated 50x550x700mm 화려함 속에서도 절제된 선과 색으로 우아함을 표현하며 감각적이고 강한 인상을 남긴다.
붉은 모자의 여인 Mirror and plate glass | Laminated 50x550x700mm 화려함 속에서 절제된 선과 형태를 담아 우아함을 그려내며 강렬한 인상을 전한다. 039
이 서 진 | L E E S E O J I N 197x253x65mm(4EA) “과거의 순간을 렌즈의 담아, 다시 마음에 새기는 시간” Remind는 ‘카메라’라는 매개체를 통해 과거의 순간을 들여다보고, 잊고 지냈던 기억과 감정을 다시 떠올리게 하는 작품이다. 작품 속 렌즈는 단순히 외부 세계를 기록하는 도구가 아니라, 내면의 기억을 되비추는 감정의 창이다. 렌즈를 통해 보이는 내부에는 흐릿한 풍경, 오래된 사진, 혹은 시간의 흔적같은 이미지들이 존재하며, 명확하지 않지만 분명히 존재했던 ‘그때 그 순간’의 감각을 일깨운다. 이 작품은 시간을 되돌릴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그 기억을 다시 마음에 새기는 행위가 얼마나 깊은 위로가 되는지를 전달한다.
Remind Mirror, mixed media and optic glass Casted, digital printed, laminated and sandblasted 85x122x65~78mm(9EA,가변설치) 041
이 영 민 | L E E Y O U N G M I N Infinity mirror table Bk-9 glass, Drum can, frp and mirror Bk-9 and FRP Casted, Polishing 1100mm x800mm x800mm 인피니티 미러 방법을 이용한 탁자
043
이 지 예 | L E E J I Y E 취향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결국 어떤 형태를 가진다.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끌리는 색을 고르고, 익숙한 것에서 안정감을 느끼며, 손끝에 닿는 질감에서 위안을 찾는다. 취향은 단순한 선호가 아닌, 경험과 감각이 쌓이며 만들어지는 것이다. 서로 다른 것들이 만나고 스며들며, 보이지 않던 형태를 드러낸다. 때로는 부드럽게 흘러가고 때로는 선명한 대비를 이루며 그렇게 자신만의 형태를 완성해 간다. 당신의 취향은 어떤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가?
취향의 형태 Shape of Taste Spectrum glass and powder | Fused, sandblasted and slumped Plates: 200~300mm(25EA), Lights: 300x150mm(4EA), 1300x250mm(3EA) Variable installation 045
이 해 람 | L E E H A E L A M 七刃(칠인) Beads, glass and stainless steel casted, engraved, laminated and sandblasted 70x70x850mm(5EA) 이 작업은 인간 내면에 자리 잡은 일곱 개의 대죄를 유리라는 매체를 통해 물리적 형상으로 구현한 것이다. 유리는 빛을 투과하지만 동시에 깨어지기 쉬운 재료다. 그 투명성과 취약성은 죄라는 개념이 가진 이중성과 닮아 있다.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지만, 한 번 터지면 날카롭게 다가오는 그 본질처럼. 각 검의 손잡이는 죄의 뿌리를 쥐고 있는 인간을, 날은 그 죄가 세상을 향해 나아가는 방식들을 상징한다. 형태와 디테일은 죄의 성격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었으며, 그 조형미는 파괴를 상기시키는 동시에 아름다움을 담고 있다.
047
정 다 빈 | C H U N G D A B I N My shape Bullseye glass Fused and laminated 370x700mm 대학교 졸업을 앞둔 지금 괜히 학창시절이 그립기도 하고 그 땐 입기 싫었던 교복이 지금은 그 시절의 나를 교복만이 남아 회상시켜주고 있다. 그로써 싱그러운 그 시절의 내 모양을 만들어 보려한다.
049
정 민 지 | J U N G M I N J I 연심(蓮心) Borosilicate glass, glass beads, and mixed media lampworked 1000x700x1500mm
진흙 속에서도 맑고 고결하게 피어나는 연꽃처럼, 혼탁한 세상 속에서도 흐려지지 않는 순수한 마음을 담아냈습니다. 전통 민화 ‘연화도(蓮花圖)’에서 영감을 받아 연꽃, 연잎, 오리, 새와 같은 자연 속 생명체들이 어우러지는 조화로운 풍경처럼 한복의 선과 색, 그리 고 유리공예의 빛과 투명함이 만나 ‘착용 가능한 예술’이라는 새로운 장신 구로 탄생하였습니다. 실험적 시도이자 유리로 재해석하여 한복과 조화되었을 때 연화도가 지닌 청정함, 부귀, 가정화목의 의미를 더욱 돋보이도록 했습니다. 부 귀 와 화 합 을 품 은 연 꽃 , 한 복 위 에 피 다 051
정 수 빈 | J U N G S U B I N 온고지신[溫故知新] Frp, glass, plate glass and wood | Casted, slumped, FRP and woodworked | 600x1095x345mm 어릴 적 영화 ‘명량’ 속 거북선에서 느꼈던 감동과 위로를 바탕으로, 역사적 상징인 거북선을 나무와 유리라는 현대적 재료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나무는 따뜻한 역사성을, 유리는 열린 시선을 상징하며, 이 조형물은 전통과 현대, 기억과 재창조가 만나는 공간으로 작품화하였다.
053
정 호 연 | J U N G H O Y E O N
발돋움 Mirror and plate glass | Fused, laminated and slumped 300x300mm(5EA), 300x300x100mm(3EA), 200x200x50mm(7EA) 종이비행기가 접히는 모습을 인생에 대입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다듬어지고 날아가기 위한 목표를 향해 성장하는 것을 표현했다. 055
S PA C E FO RMAT I V E A R T S D E S I GN | 유리 GLASS
구현성 김지원 라혜주 박고운 박지원 박현정 엄지현 윤민서 윤인교 윤태영 전세민 정회린 최윤서 최한별 홍지우 KOO HYUNSUNG KIM JIWON RA HYEJOO PARK GOWOON PARK JIWON PARK HYUNJEONG EOM JIHYUN YUN MINSEO YOON INKYO YUN TAEYOUNG JEON SEMIN JEONG HWAERIN CHOI YUNSEO CHOI HANBYEOUL HONG JIWOO 지도교수 편종필 Prof. Jongpil Pyun
구 현 성 | K O O H Y U N S U N G
초석 Glass, white clay and wood | Cast and wheel thrown | Ø120x400mm(4EA) 한옥의 주춧돌과 한옥기둥의 구조를 재해석한 조명 059
김 지 원 K I M J I W O N | 공존 Plate glass and stainless steel | Fused, Sandblasted 1100x1300x260mm(3EA) 사라지고, 피어나고, 겹쳐 흐르는 자연의 형상들. 유리 위에 남긴 이 유기적 흔적들은 인간과 자연이 함께 숨 쉬는 삶의 풍경을 담아낸다. 061
라 혜 주 | R A H Y E J O O 사랑으로 피어난 Be loved Blossom Earth clay and glass | Hand built and hot working fused | 1300x600x600mm “너로 피어난 나, 너에게 심은 나의 봄” 엄마의 청춘을 한 송이의 꽃에 비유했다. 그 꽃이 시들면서 또 다른 꽃, 즉 ‘나’라는 존재가 피어났다. 나는 엄마의 계절 위에서 자라났고, 그렇게 피어난 나의 삶은 다시 엄마에게 꽃을 돌려주는 방식으로 감사함을 전하려 한다. 이렇게 누군가의 사랑과 헌신 위에 피어난 나는, 또 다른 사랑을 겪으며 성장했다. 과거의 사랑과 감정들은 나를 변화시키고, 나의 감정과 가치관을 만들어 주었다. 비록 그 사랑은 끝났지만, 그 시간은 나의 일부로 남아 내 안에 살아있다. 그렇게 사랑은 끝이 아니라 또 다른 나를 피워내는 계절이 되었고, 나는 이제 누군가의 계절을 피워 줄 준비를 한다.
063
박 고 운 | P A R K G O W O O N 결화 Glass and gold leaf | Gilding and lampworked 150x120x180mm, 200x200x220mm, 300x300x180mm, 400x350x160mm, 460x380x100mm(Each) 결이 쌓이고, 피어나는 순간
065
박 지 원 | P A R K J I W O N 빈틈 Humanity Glass | Hands formed, fused, laminated and slumped | 850x176x176mm 사람들은 누구에게나 빈틈이 있다. 이 빈틈을 때론 인간미라고 한다. 완벽한 사람에게 있어 이 빈틈은 인간미로 이 사람도 똑같은 사람이었다는 것을 느끼게 한다.
067
박 현 정 | P A R K H Y U N J E O N G 투영된 생명 Projected Life Glass | Fused glass and vitrograph | 1420x320x912mm(2EA) CT 촬영을 통해 기록된 식물과 동물의 단면 이미지를 유리라는 투명한 매체 위에 구현한 작품입니다. 기술과 예술의 경계에서, 생명의 내면을 시각화하고 그것을 빛을 통해 ‘투영’하는 과정을 담았습니다. 이 작품은 우리가 평소에 볼 수 없는 생명체의 내부 구조를 아름다움의 대상으로 재조명하고 투명한 유리는 생명의 복잡한 층위를 드러내며, 빛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시시각각 다른 감상을 이끌어냅니다. 과학적 시선과 예술적 감성이 만나는 이 자리에서, 우리는 ‘보이는 것 너머의 생명’을 마주하게 됩니다.
069
엄 지 현 | E O M J I H Y U N 햇살이 머무는 곳 그리고 나 Where the light rest and me Czech glass, plate glass, recycled glass bottles and soda glass Fused, Installed and lampworked 21000x16000x12000mm 햇살이 잠시 머무는 장소, 푸른유리 너머로 스며드는 빛이 공간과 시간 사이에 고요히 머문다.
071
윤 민 서 | Y U N M I N S E O 소모품 Expendables Soda lime glass and found objects | Cast, Installed and Kiln formed 20x350x110~20x430x200mm 눈을 가린다고 외면할 수 없는 것들이 있다. 우리는 그들이 필요하면서 동시에 외면한다. 우리는 모두 같은 사람이다.
073
윤 인 교 | Y O O N I N K Y O 그리움 그리고 추억 Longing and memories Black glass mirror and plate glass Constructed, engraved, installezzd and painted 1810x824x1805mm, 2000x2500mm 사라진 소중한 존재를 기억하며, 하나의 계단마다 추억을 조심스레 새겨 넣었습니다. 그리움이 손 끝을 타고, 빛과 그림자 사이에 조용히 머뭅니다. 사라진 존재는 내 기억속에 영원히 흐릅니다.
075
윤 태 영 | Y U N T A E Y O U N G 고요, 기억, 경계, 심연 Silence, Memory, Borderline and Abyss Mirror and plate glass | Assembled and digital printed | 620x420x40mm(4EA) 고요한 공간 속, 거울에 비친 얼굴을 통해 ‘나 자신’과 마주하고, 상호작용 하는 순간을 경험할 수 있는 작품입니다.
077
전 세 민 | J E O N S E M I N 미끼 LURE Glass and stainless steel | Assembled, Cast and Installed 125x500x65mm, 130x500x60mm, 130x480x65mm 우리의 삶 속에는 표면적으로는 단순한 물질처럼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누군가의 욕망을 자극하고,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하는 ‘함정’이 존재한다. ‘나는 무엇에 이끌리고 있는가?’
079
정 회 린 | J E O N G HW A E R I N 매일 흘러가는 짧은 시간 속에서 무수한 찰나를 마주합니다. 그 순간들은 때로는 눈에 띄지 않게 지나가지만, 어떤 찰나는 마음 깊은 곳에 선명히 남아 시간을 기억하게 만듭니다. 유리 파우더를 사용해 ‘순간’을 포착하려 합니다. 유리는 시간처럼 투명하고, 파우더는 감정처럼 흩날립니다. 이 세 장면은 각기 다른 순간들을 품고 있지만, 모두 ‘지나가 버리는 순간’ ‘아직 지나가고 있는 순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가장 짧은 시간이, 때로는 가장 깊은 기억이 된다는 것을 표현하고자 하였습니다.
찰나:순간의 시간 Glass frit, glass powder and plate glass | Fused and vitrograph 420x600mm(3EA), 150x190mm(4EA) 081
최 윤 서 | C H O I Y U N S E O WILLEE Plate glass, glass, glass frit and glass powder | Blown glass | 400x200x200mm 외계인을 모티브로 한 창작 세계관의 주인공 ‘윌리’는 YP53 행성에서 지구를 탐색하기 위해 ‘루프’를 통해 ‘나(윤서)’의 집에 도달한다. 일상 속에서 사라지는 작고 평범한 물건들은 단순한 분실이 아닌, 인간을 연구하기 위한 그의 수집 대상이다. 이 이야기는 익숙한 일상에 작가의 상상을 덧입혀 바라본, 사라짐에 관한 작고 기묘한 기록이다.
083
최 한 별 | C H O I H A N B Y E O U L Tension and Balance - Equilibrium Glass and rayon | Cast, cut, ground, laminated and polished | 320x300x25mm(4EA)
Equilibrium – 잠재력, 균형 위의 긴장 유리는 단단하면서도 깨지기 쉽다. 그 모순된 성질은 잠재력이라는 주제와 닮아 있다. 드러나지 않은 에너지가 형태를 갖추는 순간, 그 안에는 팽팽한 긴장과 섬세한 균형이 공존한다. 작품은 투명한 유리로 가능성을 드러내고, 검은색은 그 속에 내재된 무게와 정서를, 붉은색은 순간적으로 터질 듯한 감정의 응축을 상징한다. 실은 서로 다른 면을 잇고, 당기고, 잡아당기며 보이지 않는 힘의 흐름을 시각화한다. 움직임 이전의 정적, 즉 잠재력이 발현되기 직전의 순간을 담았다. 균형은 멈춤이 아니라, 긴장 위에 세워진 상태다. 그 가장 조용한 곳에서, 변화는 시작된다. 085
홍 지 우 | H O N G J I W O O 영몽(靈夢) Dream of the spirit Borosilicate rod and opal black rod | Lampworked | 105x50x10mm 꿈을 지켜주는 수호신 영몽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꿈의 질서와 악몽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087
S PA C E FO RMAT I V E A R T S D E S I GN | 도자 CERAMIC
김민성 김서희 김소연 김승원 김혜빈 마상준 박경은 박서연 박서영 오민서 이은정 이회림 전소영 최현정 한영서 KIM MINSUNG KIM SEOHEE KIM SOYEON KIM SEUNGWON KIM HYEBIN MA SANGJUN PARK GYEONGEUN PARK SEOYEON PARK SEOYOUNG OH MINSEO LEE EUNJEONG LEE HOERIM JEON SOYOUNG CHOI HYUNJEONG HAN YEONGSEO 지도교수 공현구 Prof. Hyunku Kong
김 민 성 | K I M M I N S U N G 나의 인생 동화 My life fairy tale Matt glaze, opaque glaze, pla filament, transparent glaze and white clay 3d printing and extruded | 180x180x30mm(9EA) 개인적 경험과 기억을 동화처럼 재해석한 조형적 서사
091
김 서 희 | K I M S E O H E E Planet jar Colored clay and white clay | Hand built and slip cast | 165x165x40mm 항아리가 자아내는 변화는 우주에서 가져온 흙 속에 담겨 있는 신비로운 힘을 상징하며,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무수한 가능성들을 나타냅니다.
093
김 소 연 | K I M S O Y E O N 빛의 요람 Cradle of Glow Slip and thousand | Forslin-laced 470x160x80mm, 320x190x150mm, 200x400x120mm
빛을 감싸 안고 있는 형상을 “요람(Cradle)”에 비유하여 따뜻한 이미지와 안정감을 전달합니다. 095
김 승 원 | K I M S E U N G W O N 백자 속의 우주 Universe in white porcelain Aluminum profile, plate glass and white clay Wheel thrown 350x350x300mm(4EA) 빛과 어둠 사이, 백자 속에서 우주가 드러나다.
097
김 혜 빈 | K I M H Y E B I N
시간의 틈 Gaps of Time Earth clay | Coiling and hand built 600x260x260mm, 1100x300x300mm 성장과 고요, 울림과 침묵이 공존하는 나의 시간을 담은 공간 099
♭Plat : Line Cement, earth clay, and opaque glaze Hand built 1500x1700x1500mm 건물의 높낮이가 만들어낸 형상은 플랫음을 연상합니다. 비플랫은 작품의 모습이 보여주는 형상을 통해 마치 하나의 스카이 라인을 보는 듯한 경험을 선사합니다. 마 상 준 | M A S A N G J U N
101
박 경 은 | P A R K G Y E O N G E U N The Second Life Birch plywood, enamel wire and slip | Slip Mosaic | 20x400x630mm, 20x400x640mm 사라진 물건들의 두 번째 삶
103
박 서 연 | P A R K S E O Y E O N Fantasy Birch plywood, slip and wire Slip mosaic 20x930x600mm, 20x600x410mm
이야기를 모티브로 디자인하여 이세계를 표현하다. 105
박 서 영 | P A R K S E O Y O U N G 기억의 형태 Shaped of memory Stone epoxy and super slip | Slip cast | 300x1600x1600mm, 300x1300x1300mm 시간이 흐르면서 수많은 경험을 통해 기억을 쌓는다. 기억들은 서로 연결되고 확장되며, 마치 식물이 뿌리를 내리고 자라나는 것처럼 우리 안에서 점차 성장하며 다양한 형태를 이루어 기억이 축적되고 성장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107
색채의 구조는 기하학적 모듈과 감각적인 색채를 결합한 세라믹 인테리어 가구입니다. 타일이라는 소재에 파스텔톤 색상과 라운드 형태를 입혀, 공간에 따라 사용자가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습니다. 오 민 서 | O H M I N S E O 색채의 구조 The Structure of Color Mixed media, opaque glaze and white clay | Extruded 900x300x600mm, 300x900x900mm, 300x300x300mm
109
이 은 정 | L E E E U N J E O N G 나의 일본이야기 Acrylic, acrylic paint, ceramic paint, matt glaze, transparent glaze and white clay, wood board Hand built and hand painted | 240x140x240mm(6EA) 여행이라는 책장에 일본에서의 추억을 담은 작품
이 회 림 | L E E H O E R I M 융합의 과정 Process of Fusion Colored clay and transparent glaze | Slip cast | 100x1350x750mm 서로 다른 요소들이 어우러지는 ‘융합’의 과정을 상상하며 그 이미지를 파도와 산으로 떠올렸습니다. 출렁이는 파도를 보며 관계 속에서 서로 다른 부분들이 부딪히고 조화를 이루려는 모습이 떠올랐습니다. 산은 가까이서 보면 흙, 나무, 돌 등 다양한 요소로 이루어져 있지만 멀리서 보면 하나의 형태로 보입니다. 이처럼 서로 다른 것들이 어우러져 하나가 되어가는 모습이 융합의 의미와 맞닿아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뾰족한 산의 형태를 모티브로 ‘다름‘이 부딪히는 지점을 표현했습니다. 모서리들이 하나로 합쳐지며, 앞으로 나아가는 모습을 물결 형태로 형상화했습니다.
www.dorok.krRkJQdWJsaXNoZXIy MTA5MDQzMw==